목차
이전 포스팅에 인덱스 펀드에 대해서 이야기 했는데요.
오늘은 실제 사례를 통해서 개별주식 투자의 위험성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개별주식 투자의 위험성
앞선 포스팅에서도 이야기를 했는데요.
2025.11.14 - [Wealth] - 인덱스 펀드를 해야 하는 이유?
인덱스 펀드를 해야 하는 이유?
인덱스 펀드란? 인덱스 펀드는 특정 시장의 모든 기업에 분산 투자하여, 시장 전체의 성과를 그대로 따라가는 펀드입니다. 개별 주식이나 전문가의 감(시장 타이밍)에 의존하지 않고 시장 전체
velog.kr
개인이 개별주가의 등락을 맞추기가 너무 어렵습니다.
예를 들어 현대차와 같은 주식이 있어서 24년에 17만원일때 좀씩 오르는걸 보고 껄무새가 되었다가, 27만원대에 매수했습니다. 그러고 30만원까지 오르자 또 추가로 매수했구요.

그러다가 갑자기 주식이 떨어지기 시작합니다. 팔아야하나 고민을 하다가 원래 가격인 27만원 밑으로 내려가자 패닉셀을 하기 시작합니다. 그대로 20만원대에 매도했는데요.
그래도 이 현대차 주식은 올해 들어서 올라서 그나마 괜찮습니다. 장기투자해서 오른다고 가지고만 있다면 아래처럼 -80%에 가까운 수익률을 볼 수 도 있습니다.

이렇듯 개별주가의 등락을 맞추기가 어렵기 때문에 주식은 시장의 통계를 활용한 인덱스 펀드를 분할 투자로 사는 것이 현명합니다.
개별주식이 오르고 내리고는 거의 홀짝을 하는 도박과 같습니다.
아래처럼 엄청난 대박이 날 수도 있지만, 반대로 엄청난 손실이 날수도 있습니다.

주식시장에서는 오랜기간 살아남는 것이 승자입니다.
그리고 궁금한것이 ETF의 세금인데요.
ETF 세금 정리
예를 들어 국내주식형 ETF는 별도의 매매차익에 대한 세금이 없습니다.
국내주식형 ETF : KODEX 200 등
국내상장 해외 ETF : KODEX 미국 나스닥100 등
해외 상장 ETF : QQQM, SPYM 등
분배금은 모두 배당소득세 15.4%이고, 국내상장 해외 ETF는 매매차익에 대해서 배당소득세(15.4%)로 적용되고, 해외상장 ETF는 양도소득세(22%) 기준으로 처리됩니다.

특히 최근에는 해외 ETF와 유사한 국내 ETF를 많이 출시했는데요. 다만 오히려 금융소득 종합과세 대상이라 역차별이라는 이야기가 나오고 있습니다.

게다가 미국 거주자가 한국 증권에서 ETF를 사면 세법상 이슈가 생긴다고 합니다.
혹시 미국에서 국내 ETF를 구매하신다면 다시 한번 생각해보시기 바랍니다.

추천 개별주
그렇다면 미국 거주자에게 추천할만한 개별종목은 무엇일까요?
현재 정부의 정책으로 4대금융회사에서 비과세 배당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바로 자본준비금 감액배당인데요.
감액배당은 배당시 회사가 번 돈(이익)이 아니라, 주주가 처음에 맡긴 돈(자본)을 돌려주는 것"으로 해석하여 세금을 매기지 않는 제도입니다.
회사의 금고에는 크게 두 가지 주머니가 있다고 상상해 보세요.
- 이익잉여금 (수익 주머니): 회사가 장사를 잘해서 번 돈. 여기서 배당을 주면 **'배당소득세(15.4%)'**를 냅니다.
- 자본준비금 (원금 주머니): 주주들이 주식을 살 때 액면가보다 비싸게 사서 쌓인 돈(주식발행초과금 등). 여기서 돈을 꺼내주면 '원금 반환'으로 보아 세금이 없습니다(비과세)

| 구분 | 일반 배당 (이익 배당) |
자본준비금 감액 배당
|
| 배당소득세 | 15.4% 원천징수 | 0원 (비과세) |
| 종합소득세 | 연 2,000만 원 초과 시 합산 과세 (최고 49.5%) |
합산 제외 (아예 소득으로 안 잡힘)
|
| 건강보험료 | 소득에 포함되어 건보료 인상 가능성 있음 | 영향 없음 |
| 실질 수익률 | 표면 수익률보다 낮아짐 |
표면 수익률 그대로 내 돈
|
이에 따라 우리금융지주가 가장 처음으로 도입했는데요. 이에 따라 우리금융지주에 대한 투자가 메리트가 있을것으로 예상됩니다.

그외에 Gemini가 추천한 종목은 아래와 같습니다.
| 섹터 | Top Pick | 투자 핵심 논리 |
선생님의 관심사 연결
|
| 반도체 | SK하이닉스,삼성전자 | HBM 독점력 유지, AI 투자 지속 |
AI 산업, 미국 기술주 연동
|
| 방산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현대로템 | 수출 잔고 매출 인식 본격화 |
지정학적 리스크 헷지
|
| 전력기기 | HD현대일렉트릭, LS ELECTRIC | AI 데이터센터 전력 부족 수혜 |
미국 인프라 투자 수혜
|
| 금융 | KB금융, 메리츠금융지주 | 밸류업 프로그램 선도, 주주환원 | 안정적 배당 수익 |
그럼 현명한 투자 되세요
'Wealth'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인덱스 펀드를 해야 하는 이유? (1) | 2025.11.14 |
|---|---|
| 미래에셋 비과세 종합저축 한도 증액하기 (0) | 2025.11.12 |
| 광주 상생카드로 타이어 18% 할인받아 교체하기 (0) | 2025.11.10 |
| 국내 증권사별 브랜드 이름 (0) | 2025.11.09 |
| 한국식 자본주의의 끝판왕 런던베이글뮤지엄 (0) | 2025.11.08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