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반응형

    여름철 대표 과일인 수박에 나타나는 '수박 모자이크 병'은 바이러스 감염에 의해 발생하는 식물병입니다. 이 병에 걸린 수박은 잎과 열매에 특징적인 증상이 나타나며, 상품 가치가 크게 떨어지고 농가에 큰 피해를 줍니다.

    수박 모자이크병 주요 증상


    수박 모자이크 병의 증상은 감염된 바이러스의 종류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지만, 공통적으로 다음과 같은 증상을 보입니다.



    잎: 잎에 얼룩덜룩한 연녹색 또는 황색의 모자이크 무늬가 나타납니다. 병이 진전되면 잎이 오그라들고 기형이 되며, 전체적인 생육이 위축됩니다.



    열매: 과일 껍질에 원형의 얼룩이나 기형적인 무늬가 생길 수 있습니다. 무엇보다 큰 문제는 과육에서 나타납니다. 수박을 잘랐을 때 씨앗 주변을 중심으로 황색의 섬유질 띠가 회오리 모양으로 나타나거나, 과육 일부가 붉은 보랏빛을 띠며 물러지는 증상을 보입니다. 심한 경우 시큼한 냄새가 나기도 합니다. 이러한 증상은 수박의 당도를 떨어뜨리고 품질을 저하 시킵니다.

    쿠팡에서 꼭지제거 수박을 샀떠니 확인할 수 없는 수박 모자이병이 걸린 수박이 왔습니다.

     

    맛있게 먹을려고 수박을 잘랐더니 아래처럼 수박 모자이크 병에 걸린 수박에 당첨 ㅠ

    수박 모자이크병 원인과 전염 경로


    수박 모자이크 병을 일으키는 주요 바이러스는 수박모자이크바이러스(Watermelon Mosaic Virus, WMV)와 오이녹반모자이크바이러스(Cucumber Green Mottle Mosaic Virus, CGMMV) 등이 있습니다. 이 두 바이러스는 전염 경로에 차이가 있습니다.

    수박모자이크바이러스(WMV): 주로 진딧물에 의해 전염됩니다. 진딧물이 바이러스에 감염된 식물(수박, 호박, 잡초 등)의 즙액을 빨아먹은 뒤, 건강한 수박으로 이동하여 즙액을 빨 때 바이러스를 옮깁니다.

    오이녹반모자이크바이러스(CGMMV): 이 바이러스는 전염성이 매우 강합니다. 감염된 종자, 토양에 남은 병든 식물의 잔재물, 그리고 농작업 시 사용하는 도구나 사람의 손에 묻은 즙액을 통해 빠르게 퍼져나갑니다. 접목 시에도 감염될 수 있습니다.

    인체 유해성 및 대처 방안


    수박 모자이크 병에 걸린 수박의 바이러스 자체가 인체에 직접적인 해를 끼치는 병원균은 아닙니다. 하지만 병으로 인해 과육이 물러지고 쉽게 부패할 수 있으며, 당도가 떨어져 맛이 없습니다. 면역력이 약한 어린이나 노약자의 경우, 부패한 과육을 섭취하면 배탈이나 설사 등의 증상을 겪을 수 있으므로 먹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