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반응형

    최근 영국 버밍엄 대학교 연구팀이 국제학술지 ‘커뮤니케이션 바이올로지’에 발표한 최신 연구가 이슈가 되고있습니다.

    이번 연구는 18세부터 88세까지 다양한 연령대의 참가자들이 고전 드라마를 시청하며 fMRI로 뇌 활동을 측정하였는데요.

    이 연구는 시간 인식이 나이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 뇌 신경 활동 변화를 중심으로 분석했습니다.

    연구 결과

    나이가 많아질수록 뇌가 새로운 상태로 전환되는 빈도가 낮아지고, 한 상태가 더 오랫동안 유지된다고 밝혔습니다.
    즉, 나이가 들면 새로운 자극이나 흥미로운 경험이 줄어들고 뇌가 같은 상태를 오래 지속하는 특징이 두드러집니다.
    이 결과는 고대부터 전해지는 ‘시간 인식 이론’(사건이 많을수록 시간이 길게 느껴짐)과도 일치합니다.

     

    연구팀은 장기 뇌 노화 연구 프로젝트 ‘케임브리지 노화 및 신경과학센터’ 데이터를 활용했습니다. 해당 프로젝트에서는 총 577명의 참가자가 1961년작 TV 시리즈 ‘알프레드 히치콕 프레젠츠(Alfred Hitchcock Presents)’의 한 에피소드 중 약 8분 분량의 영상을 시청했으며, 참가자들이 이 영상을 시청하는 동안 기능적 자기공명영상(fMRI) 촬영이 진행되었습니다.

    이를 통해 참가자들의 시간에 따른 뇌 활동 변화를 분석할 수 있었습니다.



    시간이 왜 더 빠르게 느껴질까요?


    젊을 때는 새로운 경험이나 인상적인 사건이 많아 시간이 천천히 흘러가는 것처럼 느껴집니다.

     

    즉 연구진은 "동일한 시간 동안 신경 상태가 더 오래 유지되는 현상이 노년층이 시간을 더 빠르게 흘러간다고 느끼는 데 기여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에 따라  연령이 증가하면 일상생활이 단조로워지고 특별한 사건이 적어져, 뇌에 기록되는 ‘시간의 마디’가 감소합니다.
    결과적으로 같은 1년이라도 젊었을 때보다 나이가 들수록 훨씬 짧게 느껴지는 원리가 입증되었습니다.

    결국 반복되는 일상에 변화를 주시면 체감상 시간의 흐름을 더 천천히 느끼실 수 있습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