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뇌졸중이란?
뇌졸중은 갑작스럽게 뇌가 망가져 기능을 하지 못하는 상태를 말합니다. 크게 뇌경색과 뇌출혈로 나뉩니다.
뇌경색
뇌경색은 뇌혈관이 막혀 뇌의 일부가 손상되는 질환을 의미합니다. 목 부분에 있는 경동맥, 척추-기저동맥부터 우리 뇌 안에 있는 아주 작은 지름의 동맥까지 어떤 혈관이든 막힐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혈관이 지배하던 부위의 뇌가 괴사하여 지속적인 증상이 남습니다.
뇌경색 원인
동맥경화증에 의해 병든 혈관에서 주로 발생하는 혈전(핏덩어리)은 심장에서 뇌로 가는 내경동맥이나 뇌혈관 중 어떤 곳에서든 발생할 수 있습니다. 혈전이 혈관을 막거나 혹은 처음 형성된 부위에서 떨어져 나가 다른 혈관을 막는 것을 색전이라고 합니다. 혈전이 심장이나 굵은 뇌동맥 등에서 떨어져 나와 말단부 뇌혈관을 막아서 뇌 손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또한 동맥경화증으로 인해 말단부 혈관이 아주 좁아진 경우 허혈성 뇌졸중이 생길 수 있습니다.
즉 심장에서 혈전이 발생하고, 이 혈전이 혈관을 따라 이동하다가, 작은 뇌혈관을 막게 되면 뇌경색이 발생합니다.
일반적으로 뇌경색이 오면 혈전을 녹여야 하기 때문에 항응고제를 사용하는데요. 항응고제는 혈액의 정체에 의한 응고를 저지하는 효과가 있으며 항혈소판제와 비교해 더 강력한 혈전 저해 효과가 있습니다. 대신 출혈 부작용에 대한 위험도 더 큽니다. 일반적으로 항응고 요법은 심장성 색전증에 의한 뇌경색이나 응고 장애가 있는 뇌경색 환자에서 재발 예방을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뇌출혈
뇌출혈에는 뇌내출혈과 거미막밑출혈 등이 있는데요.
갑자기 뇌내 혈관이 터지면서 뇌 안에 피가 고이는 병입니다. 이의 대부분은 고혈압이 원인인데요. 오래된 고혈압은 뇌내 소혈관을 손상시킬 수 있는데, 손상된 뇌혈관은 스트레스나 압력에 취약해져 잘 터질 수 있습니다. 이 외에 뇌혈관 기형이나 모야모야병에서도 혈관이 약해져 뇌출혈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뇌졸중 초기증상
마비나 언어장애, 시각장애, 어지럼 등이 발생하면 뇌졸중이 발생한 상황일 수 있습니다.
'Health'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미, 건강식 맞을까? 무기비소 논란 팩트체크 (0) | 2025.04.26 |
---|---|
배드민턴 혼자 할 수 있는 연습 루틴 (0) | 2025.04.14 |
저녁샤워가 아침 샤워보다 좋다? (0) | 2025.04.14 |
집에서도 간단히 할 수 있는 치매 테스트 (0) | 2025.04.06 |
안저 망막변성이란? (0) | 2025.03.21 |